본문 바로가기

플라톤형상론2

고대 철학자 14 - 플라톤(9) 형상은 세 가지 방식으로 사물과 관련되며 이는 동일한 사항에 관해 언급하는 세 가지 방식이라 해도 좋을 것이다. 첫째, 형상은 사물의 본질의 원인이다. 둘째, 사물은 하나의 형상을 분유한다고 말할 수 있다. 셋째, 사물은 하나의 형상을 모방하거나 모사한다고 말해도 좋을 것이다. 각각의 경우에서 플라톤이 암시하고 있는 것은 비록 형상이 사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인간의 이데아는 소크라테스와 다르지만 모든 구체적, 현실적 사물은 어떤 방식으로든 자신의 존재를 형상에 의탁하고 있으며 형상을 어느 정도 모방하거나 모사하고 있다는 점이다. 나중에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상과 질료가 분리될 수 없으며 실재적인 선과 미는 현실적인 삼루들 속에서만 발견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플라톤은 사물과 그것의 형상 사이의 관계에 대한.. 2022. 10. 30.
고대 철학자 14 - 플라톤(7) 정신은 사물에 대한 좀 더 충분한 설명을 요구하는 한 결코 만족하지 않는다. 그러나 완전한 지식을 소유하기 위해서 우선 정신은 만물에 만물에 대한 관계를 파악해야 하며, 모든 실재에 대한 통일성을 알아야 한다. 완전지는 감각적 대상들로부터 완전히 풀려난 정신을 나타낸다. 이 수준에서 정신은 직접적으로 형상을 취급한다. 형상은 보편적 인간처럼 현실적 대상들로부터 추상화된 가시적 대상들이다. 정신은 이제 가시적 대상의 상징적인 성격들로부터 어떠한 간섭도 받지 않고 이들 순수 형상들을 취급한다. 또한 여기서 정신은 더 이상 가설을 사용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가설은 제한되고 고립된 진리만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 정신이 가설의 제한을 초월해서 모든 형상의 통일로 지향할 수 있을 때 이러한 최고 수준의 지식으로의.. 2022. 10. 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