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0

고대 철학자 14 - 플라톤(2) 플라톤은 페리클레스가 죽은 지 1년 뒤인 기원전 428(또는 427)년에 태어났다. 그때 소크라테스는 마흔두 살이었고 아테네의 문화는 번영을 누리고 있었다. 플라톤의 가문은 아테네의 저명한 가문 가운데 하나였기 때문에 그는 어린 시절부터 예술, 정치학, 철학 등 다방면에서 그 문화를 두루 섭렵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그의 부친은 자신의 혈통을 고대 아테네의 왕들에게 소급시켰고 더 거슬러 올라가 포세이돈신까지 끌어올렸다. 한편 그의 모친인 페릭티오네는 카르미데스의 여동생이자 크리티아스의 사촌이었는데, 그 두 사람은 펠레폰네소스 전쟁으로 아테네가 몰락한 후 생겨난 과두 체제의 핵심 인물들이었다. 플라톤이 아직 어렸을 때 그의 부친이 죽은 후 그의 모친은 페리클레스와 친구였던 피릴람페스와 결혼했다. 이렇게 저.. 2022. 10. 20.
고대 철학자 14 - 플라톤(1) 플라톤의 광범위한 지식 체계는 매우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고 그의 철학은 서양 사상사에서 가장 지속적인 흐름을 형성해 왔다. 한 가지 문제에만 집중했던 그 이전의 철학자들과는 달리 플라톤은 인간 사유의 모든 영역을 하나의 일관된 지식 체계로 포섭했다. 최초의 철학자들인 밀레토스 학파는 주로 물질적인 자연의 구성에만 관심을 가졌을 뿐 도덕의 기초에는 관심이 없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엘레아 학파의 파르메니데스와 제논은 실재란 변화하지 않고 단일한 실재, 즉 일자로 구성된다는 사실을 주장하는 데 전념했다. 반면에 피타고라스 학파와 헤라클레이토스는 실재를 항상 변화하고 유전하는 것으로 파악했고, 또한 그 실재가 다양한 사물들로 구성되었음을 보여 주었다. 소크라테스와 소피스트들은 물질적인 자연에는 거의 관심을.. 2022. 10. 19.
고대 철학자 13 - 소크라테스(6) 영혼에 대한 배려를 인간의 최대 관심사로 생각했던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삶을 면밀히 관찰하고 자신의 주변 사람들(아테네 인들)에 대해 사유하는 데 거의 모든 시간을 소모했다. 페리클레스 치하의 아테네는 부강했고 안전했으므로 소크라테스는 심각한 반대에 부딪치지 않고 단지 '귀찮은 존재'로서 자신의 소명을 실천할 수 있었다. 인간의 즉흥적 행동의 근저에 확고부동하고 영원한 도덕적 질서를 세워야 한다는 그의 엄청난 요구는 짜증스럽고 우스꽝스러운 것으로 간주되었고 그에게는 이율배반에 빠진 지식인이라는 평판이 주어졌다. 좀 더 사태를 악화시킨 것은 많은 아테네 인들이 이미 논의가 끝난 것이라고 생각했던 문제에 대해 자유롭게 사유했던 그의 태도였다. 그러나 당시 아테네의 경제력과 군사적 위치는 막강했으며, 아직은 불.. 2022. 10. 18.
고대 철학자 13 - 소크라테스(5) 소크라테스에게 지와 덕은 일치하는 것이앋. 만일 덕이 '가능한 한 영혼을 선하게 만드는' 데 관련된다면 영혼을 선하게 만드는 것이 무엇인지를 먼저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선과 지는 밀접히 관련된다. 그러나 소크라테스는 단순히 선과 지가 관련된다는 것 이상을 말하려 했다. 그는 이 양자를 동일시했던 것이다. 그에 의하면 선을 아는 것은 선을 행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는 덕이다. 지와 덕을 동일시한 소크라테스는 더 나아가 악덕이나 죄를 지의 부재라고 주장하려 했다. 지가 덕인 것처럼 무지는 악덕이다. 이러한 추론의 결과로 소크라테스는 어느 누구도 알면서 악덕에 빠지거나 죄를 범하지 않는다고 확신했다. 그에 의하면 그릇된 행동은 항상 무의식적이며, 무지의 산물이다. 덕과 지, 그리고 악덕과 무지를 일치시킨 .. 2022. 10. 1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