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0

고대 철학자 12 - 고르기아스와 트라시마코스 고르기아스는 그의 고향인 시칠리아의 레온티니로부터 외교관의 자격으로 기원전 427년 아테네로 왔다. 그는 진리에 대해 매우 급진적인 견해를 취했다. 따라서 그는 철학을 포기하고 수사학의 실천과 교육으로 전향했다. 그의 이러한 급진적 견해는 프로타고라스의 경우와 일치하지 않는다. 만물이란 참되고 진리도 개인과 환경에 따라 다르다는 프로타고라스의 주장과는 달리 고르기아스는 어떠한 진리도 존재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고르기아스는 머리카락을 세로로 자르듯이 날카롭게, 또한 엘레아 학파의 파르메니데스와 제논에 의해 사용된 추론 방식을 이용하여 그의 비상한 생각을 다음과 같이 표현했다. (1)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2) 만일 어떤 것이 존재한다 해도 그것을 파악할 수 없다. (3) 그것을 파악한다 해도 그것.. 2022. 10. 10.
고대 철학자 12 - 프로타고라스 아테네로 건너왔던 소피스트들 중에서 아브데라의 프로타고라스(B.C. 490 ~ B.C.420)는 최고령자였고 여러 변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이었다. 그는 '인간은 만물의 척도다. 존재하는 것에 대해서는 존재하는 것의,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존재하지 않는 것의 척도다'라는 명제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인간이 만물의 척도라는 그의 명제는 인간이 어떤 사물에 대해 획득할 수 있는 모든 지식은 그의 인간적 능력들에 의해 제한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그는 어떠한 신학적 논의들도 배제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신들에 관해 나는 그들이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를 알 수 없다. 그들의 모습이 어떠한지도 알 수 없다. 왜냐하면 우리에게는 지식을 방해하는 여러 요소들, 예를 들면 주제의 불명료성, 인생의 유한.. 2022. 10. 9.
고대 철학자들 11 - 소피스트들 대략 기원전 5세기부터 4세기까지 아테네에 출현했던 소피스트들 중 가장 유명한 세 사람은 프로타고라스, 고르기아스, 트라시마코스였다. 그들은 주로 떠돌이 교사로서, 엘릿의 히피아스처럼 외교관의 자격으로 아테네에 왔던 사람들로 구성되었다. 그들은 자신들을 소피스트 또는 '지식인'이라고 불렀다. 그들은 서로 다른 문하로부터, 즉 포로타고라스는 트라키아의 아브데라, 고르기아스는 남부 시칠리아의 레온티니, 그리고 트라시마코스는 칼케돈에서 왔기 때문에 아테네 인의 사고방식과 관습을 참신하게 여겼고 그것들에 대해 탐구적인 질문을 제기할 수 있었다. 그들은 아테네인들에게 그들의 사고방시고가 관습이 진리 위에 있는가 아니며 단순히 생활 습관에 기인한 것인가를 생각하게 함으로써 그리스 인들을 계몽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2022. 10. 8.
고대 철학자 10 - 원자론자들(레우키포스와 데모크리토스 2) 데모크리토스는 자연의 구조를 그려 내는 작업 이외에도 두 가지의 철학적 문제들, 즉 지식의 문제와 인간 행위의 문제를 다루었다. 그의 이 이론들은 피타고라스와 소피스트들에 대한 반응으로서 발전했는데 데모크리토스는 전자에 대해서는 그의 인간 본성론을, 후자에 대해서는 그들이 윤리학적 규칙들의 가능성을 의심했다는 점을 비판했다. 비록 데모크리토스는 '사유'도 다른 현상들과 마찬가지로 원자들의 운동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두 종류의 지각을 구분했다. 하나는 감각지요, 다른 하나는 이성지인데, 이 양자는 모두 물질적 현상이었다. 우리의 눈이 어떤 사물을 볼 때 이 어떤 사물은 그 물체의 원자들의 영향 또는 발산인 것으로 이것은 하나의 '상'을 형성한다. 이 원자의 상들은 눈에 들어가, 원자들로 구.. 2022. 10.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