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바빙크5

[죄론] 바빙크(Herman Bavinck)의 개혁교의학의 죄의 기원과 확산에 관한 연구 - 3 3. 죄의 기원은 무엇인가?1) 인간의 감각적 본성을 통한 이해 죄의 기원을 물질을 통한 인간의 통치에서 찾는 부류의 사람들이 있다(Bavinck, 『개혁교의학』, 3:54.).  “죄는 현대 철학과 신학에서 본성과 이성, 감성과 지성, 저등한 자아와 고등한 자아, 육체와 영, 이기적 성향들과 사회적 성향들 사이의 원래의 대립으로부터 동일한 방식으로 반복되어 도출되었다.”(Bavinck, 『개혁교의학』, 3:54.) 그러므로 죄는 본질적으로 감성의 지배 아래 있다. “인간의 감각적 본성은 그 자체로 죄가 아니지만, 인간의 이성과 의지가 죄의 요구에 응할 때 비로소 죄가 발생하거나 감각적 본성이 그 자체로 죄악된 것이고, 죄는 그처럼 물질에 고유한 것이라고 여긴다.”(Bavinck, 『개혁교의학』, 3:5.. 2024. 11. 1.
[죄론] 바빙크(Herman Bavinck)의 개혁교의학의 죄의 기원과 확산에 관한 연구 - 2 2. 죄에 관한 여러 가지 견해들  다른 종교와 신화, 설화 들 가운데 죄의 기원과 본질은 알려지지 않았다. 타락과 사탄의 유혹을 인정하는 유대인들조차도 “사탄은 여섯째 날에 하와와 동시에 창조되었으며, 감각적 욕구의 충동을 받아 인간을 유혹하려 시도했고, 인간은 타락 전 악의 성향을 받았다”(Bavinck, 『개혁교의학』, 3:41.)고 하는 합리적 피조물의지가 아닌 사물의 본질에서 죄의 기원을 발견하려 한다. 유교는 “인간을 본성상 선하게 여기며 세계 질서와 일치하는 덕행의 삶 가운데 행복의 길을 추구했던 피상적인 합리론과 윤리론”(Bavinck, 『개혁교의학』, 3:41.) 이며, 불교는 “현상 세계는 실재가 아니기에 지속적인 생성과 변화 가운데 존재한다. 그러므로 고난과 슬픔은 보편적인 것이고, .. 2024. 10. 31.
[죄론] 바빙크(Herman Bavinck)의 개혁교의학의 죄의 기원과 확산에 관한 연구 - 1 Ⅰ. 들어가는 말  죄의 기원과 확산에 관한 견해는 그리스도에 대한 서술에 앞서 그 기반으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리스도의 사역의 목적이 바로 이것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죄의 기원과 확산에 대한 진술을 통해서 그리스도의 사역의 목적과 범위들이 구성되게 된다. 바빙크도 3권에서 기독론을 다루기에 앞서 죄의 기원과 확산, 죄의 본질과 영향, 죄의 형벌을 먼저 다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죄의 기원과 확산에 관한 부분만을 살펴볼 것이다.   우선적으로 바빙크가 개혁교의학을 통하여 서술하는 죄의 기원과 확산에 대하여 먼저 각각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바빙크의 죄의 기원과 확산에 관한 진술들 가운데 나타나는 특징들을 다른 학자들과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Ⅱ. 죄의 기원  성경은 죄의 기원으로 하.. 2024. 10. 30.
[서론] 바빙크 개혁교의학과 죽산 박형룡 조직신학 서론 비교연구 Ⅰ. 들어가는 말  본 연구는 바빙크와 죽산의 신학을 비교연구하기 위하여 바빙크의 개혁교의학과 죽산의 조직신학을 살펴보고자 한다. 각각의 신학 가운데 서론부분에 해당하는 범위를 연구하고 비교해보고자 한다.  우선적으로 바빙크의 개혁교의학의 서론을 살펴볼 것이다. 바빙크의 개혁교의학에 있어 살펴보고자 하는 부분은 교의학의 명칭과 개념, 교의학의 백과사전적 위치, 교의학의 방법론, 교의학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우선 “교의학”이라고 하는 명칭과 그것이 가지는 개념에 대해서 서술하고, 학문으로서의 교의학이 가지는 위치를 제시한다. 그리고 교의학의 방법론, 교의학의 구성을 이야기함으로써 앞으로 전개될 교의학의 근원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죽산의 조직신학 서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 범위는 교의신학의 개요와.. 2024. 9.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