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

고대 철학자 3 - 아낙시메네스

by skyblueksj 2022. 9. 23.
728x90
반응형

밀레토스의 철학자 중 세 번째이자 마지막 인물은 아낙시메네스다. 그는 아낙시만드로스의 젊은 친구였다. 물질적인 사물들으 구성과 관련된 의문에 대한 아낙시만드로스의 대답을 검토하면서 아낙시메네스는 모든 사물의 근원으로서의 무한성이라는 개념에 만족할 수 없었다. 그 개념은 너무 모호하고 임의적이었기 때문이다. 그는 아낙시만드로스가 물이 만물의 원인이라는 탈레스의 생각에 반해, 왜 이러한 해결책을 제시했는가를 이해할 수 있었다. 왜냐하면 무한성은 유한하고 구체적인 사물들의 다양성에 대해 '무한한' 배경을 제시해 줄 수 있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아낙시메네스에 있어서 그 비결정적인 무한성은 구체적인 의미를 결여한 것이었고, 따라서 그는 탈레스가 행했던 방식대로 하나의 특정한 실체에 관심을 집중하면서도, 동시에 아낙시만드로스에 의해 이루어진 성과를 구체화하기 위해 노력했다. 

 

하나의 특정한 실체에 대한 탈레스의 생각과 지속적으로 운동하는 무한성이라는 아낙시만드로스의 새로운 개념을 결합하려는 시도로서 아낙시메네스는 공기라는 제1실체를 고안했으며, 만물은 그것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다. 물에 대란 탈레스의 개념처럼 공기는 무한한 실체로 모든 곳에 퍼져 있다. 또한 우리는 만물의 토대에서 어렵지 않게 그것을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리는 공기를 볼 수 없지만 그것을 호흡해야만 살 수 있다. 또한 '우리의 영혼이 우리를 감싸듯이 공기의 존재도 우리를 호흡하게 한다. 공기는 온 세상을 감싸고 있는 것이다.' 아낙시만드로스의 지속적으로 운동하고 있는 뭏나자에 대한 관념처럼 공기는 어디에나 퍼져 있으며, 비록 무한자와는 다르다고 할지라도 그것은 구체적이고 감각할 수 있는 물질적 실체며, 따라서 밝혀질 수 있는 것이다. 더구나 공기의 운동은 아낙시만드로스의 '분리' 작용보다 훨씬 더 구체적이다. 

 

그러나 어떻게 공기가 만물의 근원이 되는가를 설명하기 위해 아낙시메네스는 매우 중요한 새로운 개념을 제시했다. 질적 차이들은 양적 차이들에 의해 야기된다는 것이다. 공기의 팽창과 수축은 양적 변화들을 보여 주며 하나의 단일한 실체에서 발생하는 이 변화들은 여러 사물들의 다양성을 설명한다. 공기의 팽창, 즉 희박은 온기를 발생시키는데, 결국에는 불이 된다. 반면에 수축, 즉 공기의 농후는 냉기를 발생시키며 점차로 공기를 고체로 변화시킨다. 아낙시메네스는 '농후해진 공기는 바람을 만들고....만일 이 과정이 지속되면, 물이 되고 그 다음에는 땅이 생겨난다. 마지막으로 농후의 최후의 모습은 암석에서 발견된다.'고 하였다.

728x90
반응형